예술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로크 그림으로 짚어보는 철학과 철학자의 존재 의미 승인 2021.03.21 20:17■ 철학자의 거울: 바로크 미술에 담긴 철학의 초상 | 유성애 지음 | 미진사 | 360쪽이 책은 바로크의 철학자 그림을 통해 오늘날 철학의 역할과 철학자의 존재 의미를 읽어낸 미술 에세이이다. 자기와 끊임없이 갈등하고 화해를 모색할 때 비로소 도달하는 순간의 인간, 철학자. 이 책에서는 바로크 시대의 철학자 그림을 통해 오늘날 철학의 역할과 철학자의 존재 의미를 돌아본다. 17세기에 특히 유행했던 철학자 그림에 궁금증을 품은 저자는 당대에 철학자가 의미 있는 존재였다는 판단 아래 작품의 탄생 배경을 가늠해간다. 주름 가득한 얼굴에 까만 동굴 같은 입속. 온갖 불행을 누더기에 기워 걸친 듯한 한 남자가 웃고 있다. 그의 이름은 철학자. 늙고 초라한 모습에 어울리지 않는 .. 전언 모놀로그 / 박 샘 ‘나에게 박수치는 4시’에 가담했어 모가 난 취향이고 별나게 보이니까 사람을 만나는 일이 불편했기 때문이지 관객이 없는 대신 거울을 신봉해서 내 시를 독신자의 오후라고 부르는데 네 시에 보낸 갈채도 대본과는 무관해 무대의 번역들은 믿거나 말거나고 객석에 잡음들은 듣거나 말거난데 나는 왜 이 극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나 격리된 좌석제에 길들여진 묵묵부답 스스로 묻혀야 할 ‘4시’의 각자들은 미워할 상대도 없는 고독사의 동인이야 - 계간 『문학과 의식』 2022년 여름호 이전 1 다음